커피상식

커피산미 커피향미의 발견 신맛

호모-루덴스 2018. 3. 12. 17:25
반응형

커피의 맛은 다양하다

다양하다는 말은 다양한 의미가 있다



첫째는

세상에는 여러가지 맛을 가진 

다양한 커피가 있다는 말이다

커피는 산지따라 맛이 다르고

가공방법에 따라 달라지고

추출에 따라 달라지기에

정말 다양한 맛을 가지고 있다




둘째로 커미 맛이 다양하다는 것은

하나의 커피안에

즉, 한잔의 커피안에도

많은 맛과 향이 담겨져 있다는

말이기도 하다



커피맛을 한가지로 짤라서 

말할 수 없다

커피는 쓰고 달고 고소하고

상큼하고 짠맛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쓰다는 말은 커피를 설명하는 

말이 되지 못한다

고소하다는 말도 커피의 맛이 아니다



그 어느 표현도 커피의 맛이 아니다

하지만 그러한 맛이 

한잔의 커피안에 다 들어있다


그래서 커피의 맛은 다양하다고 

표현하는 것이다 




오늘은 신맛, 즉 커피산미에 대해서

알아보자!


한국인들은 커피의 씬맛을 

좋아하지 않는다

아니 익숙하지 않다

하지만 커피를 점점 더 깊이 

알아가게 딜 즈음이면

산미에 눈을 뜨게 된다



하지만 요즘 신맛이 사람들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다고 하는 말이 들린다

한국 뿐 아니라 세계적인 

추세라고 한다


맥주제조에도 산미가 강조되고

와인세계에도 

마찬가지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커피이야기를 해보자

산미는 흔히 스페셜티커피에서 

강조되는 맛이다

흔하디 흔해진 예가체프커피의 특징을

산미 상큼한 과일의 맛이라고

표현했다




산미의 균형은 커피에서 제삼의 맛을 

창조하는 신비로움이며

카피맛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라고한다


커피의 깊이는 산미를 아는가에 

달려있다

점점 산미의 묘미를 알아갈 때

당신은 진정한 커피매니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커피산미의 출처는

무엇일까?


그러면 커피의 산미는 

어디서 나오는 것일까?

흔히 사람들이오해하는 것은

특정한 커피맛이 산미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어떤 산지의 커피에는 산미가있고

어떤 커피에는 산미가 없다?

아니다

이건 틀린 말이다

모든 커피는 다 산미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산미가 특정한 

커피의 특징이기에

그 산미를 살리는 로스팅을 할 뿐이다


예를 들어 과테말라안티구아를 

산미를 살리는 로스팅을 했다면

일반적으로는 안티구아의 맛이 

아니라고 할 것이다

물론 얼마든지 자신의 취향에 따라

산미를 살릴수도 있고

낮출 수도 있다


예가체프를 산미를 없애는 

로스팅을 했다면

사람들은 그 로스팅이 잘못된

로스팅이라고 할 것이다

하지만 여기서 알아야 할 것은

산미를 없앨 수도 있고

살릴 수도 있다는 것이다


커피산지에 따라

특징에 따라

산미를 강조할 수도 있고

숨길 수도 있다는 말이다


특정 커피만이

그 자체적으로 산미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면 오해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