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보걷기 건강론
과연 근거있나?
우리나라 사람들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당연시 되고 있는
만보걷기건강론 가연
무슨 근거로 이런 이론이
나왔을까?
이런 이론에 의의를 제기하는
주장들이 연이어 등장하고 있다
가장먼저 의론의 제기한 곳은
영국의 BBC방송이다
특집기사와 다큐멘터리를 통해서
하루 1만보걷기가 건강상식으로
자리잡은 과정을 추적했다
일만보 걷기 건강론은
일본의 요시히로교수
(일본규슈보건대)가
1960년대초 일본인의 비만이
증가하는 현상에
걷기운동을 강조한 것이
계기가 되었다
거기다가 1964년
도쿄올림픽이 열리면서
전세계적으로 확산되었다고 한다
만보계란 것이 등장하고
당연한 건강 이론으로
자리를 잡았던 것이다
하지만 학계나 다수의
헬스트레이너들은
의문을 제기한다
국내 모 일간지에서 시험을 했다
결과는 첫째 하루에 일만보를
걷는다는 것이
너무 어렵다는 것이다
하루 일만보를 걷기위해서
소요되는 시간은
1시간 52분이었다
이것이 가장 큰단점이었다
상당히 어렵다
지하털출퇴근 계단이용 등의
노력을 하면 하루 5~6000보를
걷는게 고작이다
그러므로 만보걷기를
실천하고자하면
별도의 시간을 내어서
나머지를 보충해야 한다
만보걷기 운동의
열량소비는 400~430kcal 정도
운동능력이 저하된 노년층이라면
몰라도 20~50대 성인이라면
거의 열량소비외에는
운동효과 제로에 가깝다고 평가했다
짧은시간 근력운동
더 효과적이라고...
반대로 근력운동은 20분만
투자해도 운동효과가 크다
이 일간지 기자가 직접
체험하고 일년간 실험하면서
내린 결론은
걷기운동은 안하는 것보다는
나을지 몰라도
효과적인 운동은 아니라는
말인것같다
좀더 더 강도이는 운동이
필요하다는 말이었다.
운동을 지속적으로
꾸준히 하기 위해서는
운동을 하는 사람이
재미가 있어야하고
하기 쉬워야 하고
성취감이 있어야 한다
그런면에서 본다면
걷기운동은 가장 지루하고
가장 비효율적이고
재미없는 운동이다
하지만 오늘도 수많은
사람들은
걷고 또 걷는다